이슈

GMO 라면 식품 우리는 안전한가?

moonbows 2017. 6. 14. 00:48
반응형

GMO를 들어본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나쁘다는건 알지만, 얼마나 나쁘면 어떻게 나쁜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GMO는 유전자조작 음식이다. 미국의 모회사에서 돈을 벌기 위해서 농작물을 인위적으로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만들었는데, 한때는 이런 유전자 조작이 우리의 미래의 먹거리를 책임져 줄꺼라면서 환영하는 말도 있었다. 하지만, 이런 유전자조작 음식은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한 연구에 따르면 GMO 옥수수로 인체에 실험을 하였을 경우 간, 신장등에 독성이 검출 되었으며, GMO 식품이 여성의 자욱내막과 외연의 상관적인 질병이 발생율을 상승 시킨다는 발표도 나왔다. 또한 유전자조작 식품이 우리 면역계통에 악영향을 준다는 이야기와 간장과 신장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유전자 조작 식품은 여러 과학자들과 연구결과에서도 우리몸에 악영향을 준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렇기 때문에 식품에 GMO가 들어가면 반드시 표시를 하게 되어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라면이 인기가 높고 외국에서도 큰 시장력이 있다보니 지난 2014년 터키에 수출하려던 한 회사의 라면이 GMO가 검출이 되면서 전량 회수 되어 폐기조치가 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런 상황에서 pd수첩 제작진은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라면 10개 품목에 대하여 검출 조사를 해본결과 두개의 업체에서  5개 제품에서 검출이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렇게 검출이 되었지만, 회사측에서는 제조 과정에 GMO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이야기를 한다. 더구나 국내에는 아직까지 GMO 완전 표시제가 시행되지 않고 있다. 그렇다보니 재조업자 측에서는 굳이 표시를 하여, 소비자들의 선택권에서 멀어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표시를 하지 않고 있다. 소비자들의 경우는 이런 이야기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성분표를 보면서도 표시가 없기 때문에, 당연히 GMO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구매를 하게 된다. 


미국의 경우에서는 모든 GMO에 대하여 의무표시를 법률이 통과되었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제한적으로 표시제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가공식품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원재료에도 적용이 된다고 한다. 이처럼 GMO에 대한 논란은 끈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환경단체에서는 독성물질 생성이나, 일레르기를 유발하게 되며, 영양성분의 변화와 항생제 내성균이 발생하게 되거나 장기적으로 섭취를 하게 되면 영향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반대하는 사람들이 입장은 인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부작용이 발견된것이 없지만, 장기적으로 섭취를 하게되면 안전을 장담할수 없으며, 병해충에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인간의 가식부에 남아있을 경우 그 영향을 담보할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자연 생태계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즉 GMO식물이 다른 생태계의 생육에 영향을 주고, 타 식물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어 고사시킬수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대기업의 횡포가 발생할수 있다는것이다. GMO가 처음 나올때 대기업에서는 인류의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사실은 대기업의 이윤논리에서 비롯된것이다. 개발특허권을 가지고 있는 기업들이 농민들이 기업으로 씨앗을 구입하여 재배한 식물에서 씨앗을 재 파종 할수 없게 특허규정을 내었기 때문에 농민들은 매년 종자를 구매해야 한다.


찬성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보면, 육종기술의 일부라는 것이다. 즉 자연에서도 쉽게 볼수가 있는 것으로, 인위적으로 특정 유전자를 섞어 탄생하는것이므로 재래적인 육종법에 비해 덜 위험하다는 것이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유전자 변형이나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유전자변형이나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가 이렇게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바로 아직까지 먹어보지 못한 식품이기 때문이라는것이다. 어떤 위험이 있을지 모른다는 것은 추상적인 이야기라는 것이다. 


이미, 밀가루나 옥수수의 경우는 대다수가 유전자조작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수가 있다. 우리가 주변에서 먹고 있는 대대수의 식품들이 밀가루가 들어가고 옥수수도 들어간다. 그렇다 보니, 유전자조작 식품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힘들것이라고 생각이든다. 그렇다고 표시를 하지 않는다는것은 큰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인체에 큰 영향이 없다면 왜 굳이 표시를 하지 않고 출시를 하는 것일까? 우리가 GMO를 섭취한 역사는 매우 짧은건 사실이다.


반응형